한국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신부의 집 '솔뫼성지'
솔뫼성지는 한국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 성인이 탄생한 곳이다.
신부의 세례명은 안드레아, 구명은 재복이요 본관은 김해이다.
증조부 김진후(1814년 순교), 종조부 김한현(1816년 순교),부친 김제준(1839년 순교), 그리고 김대건
신부(1846년 순교) 등 4대의 순교자가 살던 곳으로 김 신부의 신앙이 싹튼 곳이며, ‘한국의 베틀레헴’이
라고 불리기도 한다.
김대건은 이곳에서 조선 순조 21년(1821)8월 21일 태어났다. 그러나 이미 증조부와 종조부가 순교한
천주학 집안이어서 김대건이 10세 무렵에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남곡리 ‘골배마실’이라는 산골로 이사했다.
헌종 2년(1836) 불란서인 모방신부로부터 신학생으로 뽑혀 (최양업 토마스과 최방제 프란치스코와
함께) 역관 유진길에게 중국어를 배운 후 모방 신부의 소개장을 갖고 중국에 갔다가 마카오에 유학하였다.
헌종 8년(1842)에는 불란서 함대 에리곤 함의 사령관인 세실 제독의 통역관으로 발탁되었고, 남경
조약 체결시 참관인 자격으로 조인식에 참석하였다.
1844년 12월 15일에 부제품을 받고 다음해 1월에 서울에 도착, 조선 순교록을 정리하고 4월 30일에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나침반을 사용하여 목선으로 서해바다를 횡단하여 상해 감가항성당에서 한국
최초의 신부로 서품을 받고 10월 12일에 강경 황산포에 상륙하여 포교를 시작하였다.
김신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제로서 선교에 힘쓰며 진리를 외치던 선각자였다. 또한 우리나라 최
초의 서양학 유학생이었고, 1845년 초 우리나라 조선전도를 만들었으며, 한국 교회 소식과 지도를
서방에 전해주고 선교사와의 연락을 위한 항로 개척을 하다가 6월 5일에 체포되었다.
6회에 걸쳐 혹독한 문초를 받고 선교부와 신부들에게 보내는 편지 및 교우들에게 보내는 유서를 쓴
후 9월 16일에 한강 새남터에서 25세의 일기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는 철종 8년(1857)
비오 9세 교황으로부터 가경자 칭호를 받고 1925년 7월 5일 시복식이 거행되고 한국 전 성직자들의
주보로 정해졌다.
아울러 1984년 5월 6일에 한국 천주교 200주년을 맞아 내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인으
로 시성되어 전세계 가톨릭의 공경의 대상이 되었다.
<피정의집이 겨울햇살의 역광으로 시커멓게 찍혔다.>
도고온천에 다녀오던 중 예산의 예당저수지를 거쳐 들른 이곳에 오후나절의 겨울햇살이 고마운 시
간이다. 이따끔씩 보이는 순례자들과 뜨락을 한가로이 거니는 수녀님들의 단아한 모습이 한가롭다.
<김대건신부상이 성지의 맨 뒷쪽 높은곳 소나무숲속에 서 있다.>
<이 동상은 1977년 12월 23일에 세웠다고 적혀있다.>
<신부의 동상 오른쪽에는 신부의 순교 100주년 기념비와 시성 기념비가 서있다.>
<기대를 갖고 찾아간 기념관은 굳게 잠겨 있엇다.>
충남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 114 번지에 자리한 이 성지는 김대건 신부의 고향집을 중심으로 조성되
었는데 솔뫼(松山)이라는 지명이 말해주듯 소나무가 울창한 곳이었다고 한다. 이제 이름 그대로 소
나무가 울창하게 심어진 이 성지가 천주교인들 뿐만 아니라 이 땅에 사는 모든이들에게 편안한 안식처
로 자리하길 기대해 본다.
<찾아가는 길>
서해안 고속도로 송악,신평 I/C를 빠져나오면 38번 국도를 만나게 되는데 우측으로 방향을 잡으면 삽교방조제 방향이다.
고속도로로 착각을 할 정도로 잘 난 신작로를 달리다가 34번 국도를 만나면 우측의 합덕방면으로 방향을 잡는다.
차가 신평을 지날즈음 32번 국도를 만나면 입체교차로를 돌아 좌측으로 방향을 잡는다.합덕읍 소재지에서 72번 지방도로를 만나면 죄회전을 하고 우강면사무소를 지나면 성지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