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 산행일지

관악산의 마지막 단풍을 담으러..

대청마루ㄷ 2007. 11. 3. 17:11

 무에 그리 바빴던지 남들 그리도 흔하게 다니는 단풍놀이 한번 못가고

이 가을을 그냥 보내 버리는줄 알았다.

그동안 산행을 소홀히 해온데다 소속된 산악회도 없으니 그저 손쉬운 산행방법은

홀로 훌쩍 떠나보는 것이다.

"훌쩍" 떠나기는 거리로 보나 편리함으로 보나 관악산 만한데가 없으니 오늘도

난 관악산을 올라본다.

관악산 등산로로 이어진 진입로는 항상 우거진 수림에 깔끔하게 단장된 모습이 언제봐도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마지막 단풍을 보내기 아쉬운 산객들은 구세군학교로 난 등산로에도 만원이다.

그들의 꼬리를 잡고 올라선 삼부능선도 벌써 가을의 색동옷을 갈아 입었다.

 

 

 관악산의 또다른 정상을 차지한 KBS송신소를 오르내리는 삭도가 산객들의 곤한 다리를 유혹한다.

내가 알기로는 저 삭도를 KBS직원들만 이용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어느 산객은 요금을 받고 등산객에게도 운영한다고 전해준다.

 

 

 구세군 학교 코스를 오르다 보면 가장 전망이 좋은 곳에 너럭바위가 있고 연륜이 오래된 소나무가 정취를 더하는 곳이 있다.이곳에서 어느 부부의 사진을 찍어주고 나도 한 컷 잡아봤다.

 

 

   만산은 홍엽으로 물들었는데 수능시험을 열흘남짓 남겨둔 학부모들은 108일 기도에 한창이다.

연주사에서 행사를 하는 소리가 능선까지 들려온다.

 정상부 능선에는 관악산의 공제선을 바꾸어버린 현대의 시설물들이 즐비하다.

 

 아랫쪽을 향하고 줄을 서있는 이들은 점심 공양을 얻어먹기 위한 행렬이다.

그저 쏠로는 이 행렬에 끼는것도 꺼려져서 길거리에서 산 떡 몇조각으로 허기를 때운다.

 아이들의 소행 같은데 저 이정표를 보는 산객들은 답답하기만 하다,

연주샘 110m가 10m로 변해있고 그마저 총탄을 맞은것처럼 상처 투성이이다.

저것도 다 세금으로 만든 것인데..

 오늘도 저 연주대 위의 암자는 의연하기만 하다.

몇백년을 저 백척간두 위에서 끄떡없이 서 있는 모습이경이롭기만 하다.

 관악산의 봉우리마다 첨탑들이 점령을 해서 도무지 어느 봉우리가 정상인지 알수가 없다.

 이 많은 산객들이 관악산 정상에 모여있다.

 

 

 자녀의 합격을 기원하는 고3생 부모들의 염원을 담아 걸어놓은 연등과 꼬리표가 장관이다.

 

 하산길 관문길 바닥에 떨어져 있는 낙엽이 곱다.

우리네 인간들도 가는 모습이 저리 고와야 할텐데..

 

힘들게 오른 관악산 정상에서 만나는 막걸리는 언제 마셔도 꿀맛이다.

법으로 따지자면 불법이라지만 땀흘리고 난 뒤에 마시는 막걸리 맛에 법의 잣대를 댈 이유가 없지..

한사발에 3천원이면 비싸다고 하지만 힘들여 등짐으로 올린 그 정성을 생각하면 그리 비싼편도 아니다.

막걸리 한사발에 충전을 하고 내려오는 하산길은 "얼큰"이라는 동행이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