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어렵게도 찾아간 곳이다.
인터넷 지도에 그 어떤 표시도 없고, 막상 현장에 가봐도 길가에 그 어떠한 안내 팻말조차도 없으니 같은 위치를 몇번이나 맴돌다가 찾은 곳이다. 만약 신평성당의 관계자께서 이 글을 보시게 된다면 즉시 시정해 주시기 바란다. 공장 뒷쪽에 사시는 어느 교우의 말씀으로는 송악 IC로 나와서 사거리에서 우회전 하면 되는디요? 이 말이 맞는 말이되 초행자에게 그 말이 얼마나 황당한 말인지..
이곳은 서해안 고속도로 송악,신평IC를 나와 신평 방향으로 6Km쯤 달리다가 법석이교차로 라는 곳에서 우회전을 하여 달리다 보면 신축중인 공장을 지나면서 저 앞에 우측에 커다란 표지석(한정리 마을 표지석)이 보이면 달리지 말고 즉시 멈춘다. 그리고 우측의 공장 울타리가 끝나는 부분에서 소로로 우회전을 하여 소나무가 한그루 서있는 곳에 조성되어 있는 묘소인데 인터넷 지도에는 새로난 길이 표시되어 있지않고, 네비게이션으로 찾아봐도 원머리성지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최신버전으로는 보일지 모르지만)
게다가 이곳을 가면서 그 어떤 이정표나 팻말,안내문 같은것이 전혀 없는데다가 날씨가 추우니 행인이 없어서 물어볼 곳도 마땅치가 않았다.
막상 현장에 도착해도 이곳이 원머리 성지라는 표지석이나 팻말도 없다.
아래 보이는 성지에 있는 모든 것이니 안내에 너무 부실한 것이 아닌지..
아뭏튼 포기하지 않고 찾게되어 이곳에 포스팅을 한 것만으로도 구도자의 심정을 어느정도 이해 하겠다.
상당한 규모의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던 이곳에도 병인박해의 광풍이 몰아쳐 많은 순교자를 배출하게 되었는데 이때 순교한 한정리(원머리)의 박태진 마티아와 박선진 마르코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는 곳이다.
이들은 1868년 수원감옥에서 순교하였는데 박씨문중의 선산인 이곳에 묻혀 있다가 1989년 신평성당으로 옮겨졌는데 2000년 신평성당을 신축하면서 원래의 자리로 다시 모시게 되었다고 한다.
헌데 궁금한 것이 교회의 필요에 따라 유택을 옮기면서 어찌 이리도 박정하게 모시는지 알수가 없다.









<자세한 설명은 가톨릭 굿뉴스 기사를 인용한다.>
신평 성당의 관할 구역인 원머리(당진군 신평면 한정리)는 성당에서 북쪽으로 약 3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병인박해(1866년) 당시 이미 상당히 큰 교우촌을 이루고 있었다. 원머리라는 지명은 바닷가에 둑을 쌓기 시작한 곳이라는 뜻에서 나온 언머리가 변형된 것으로 주로 염전과 논농사를 주로 하며 살던 박씨, 양씨, 조씨, 문씨 등이 신앙을 받아들여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이미 병인박해 때 상당히 큰 교우촌으로 성장하였다.
마침내 이곳에도 박해의 광풍이 몰아쳐 1866년부터 1868년까지 3년여에 걸친 박해로 많은 순교자를 배출하게 되는데, 현재 한정리(원머리)에 유해가 안장되어 있는 박태진 마티아와 박선진 마르코는 무진년(1868년)에 수원 감옥에서 순교하였다.
순교자 박선진 마르코의 아우 박 요셉은 1920년대에 형의 순교에 대해 이렇게 말하였다. “마르코는 모친의 뜻을 따라 착실히 수계하면서 모친과 함께 동네 교우들과 연락하고 지냈다.” 신부님이 오시어 성사를 받으려하면 부친이 금하는 고로 이를 마음속으로 꺼리더니 무진년에 수원 포교에게 체포되어 잡혀 갈 때 그는 부모에게 하직하며 위로하되 ‘거기 가서 죽으면 육정의 박절함이 없을까 만은 주 명대로 위주하여 죽는 것이 구령에 편한 일이라, 부디 염려마시고 훗날을 조심하십시오.’라고 한 다음 사촌 형인 박태진 마티아와 함께 수원옥에 갇혔다.
모진 고문을 당할 때 박태진 마티아가 이를 못 이겨 배교하려 하자 박선진 마르코는 “천주를 배반하고 영벌을 받으려 하느냐?”고 형을 깨우쳤고, 이에 박태진 마티아는 배교한 것을 뉘우치고 옥에 갇힌 지 15일 후에 같이 순교하였는데, 죽은 후 외교인의 도움으로 시신을 찾아 이곳 원머리 박씨 집안 땅에 안장하였다. 이때 박선진 마르코의 나이는 33세였고 박태진 마티아의 나이는 52세였다. 그 후 박선진 마르코와 박태진 마티아의 묘는 1989년 4월 4일 신평 성당 구내로 옮겨 모시고 현양비를 세웠다.
이들 박씨 형제 외에도 순교로 신앙을 증거하고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낸 원머리(신평) 출신 19분의 순교자들에 대해 치명일기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양 도미니코 회장, 박 회장, 유 서방, 김동 4인이 정묘년(1867년)에 홍주(홍성) 감옥에서 순교하였으며, 최 베드로, 김 루치아, 김 마리아, 원 아나스타시아 4인이 무진년(1868년)에 홍주에서 같이 순교하였으며, 또 같은 해에 박 요한과 문 마리아가 해미에서 순교하였고, 원씨, 김 마리아 2인이 홍주에서 정묘년에 순교하였고, 최 아우구스티노, 홍 베드로닐라, 양정수, 양 아우구스티노, 홍 베드로, 한 마티아 6인이 병인년에 홍주에서 순교 치명하였으며, 같은 해 김백선이 해미에서 순교하였으니, 이곳 원머리에 얼마나 큰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는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들의 신심 또한 얼마나 깊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신평 성당은 2000년에 새 성당을 건축하면서 박선진 마르코와 박태진 마티아의 묘를 재정비하였고, 2009년 대전교구 성지위원회의 결정과 교구장 유흥식 라자로 주교님의 허가를 얻어 순교자 현양과 성지 개발을 위해 그 해 11월 3일 본래 두 순교자가 묻혔던 원머리로 유해를 다시 옮겨 모셨다. 그리고 현양비도 수정하여 다시 세우고 묘역 또한 재정비하였다. 아울러 20여 년간 두 순교자가 모셔져 있던 신평 성당 자리에 기념비를 세워 두 분의 믿음과 순교정신을 기리고 있다. [출처 : 신평 성당 홈페이지, 내용 일부 수정(최종수정 2011년 11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