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설명:성지 안내문을 타자하여 옮김>
양근이라는 지명은 고구려 시대에 근거를 둔 지명이다.양근이란 지명은 버드나무 뿌리라는 의미이다.
예부터 남한강변에 버드나무가 많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폭우와 홍수로부터 마을을 보호허기 위함이었다.
버드나무는 뿌리만 내리면 어떤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속성수이다.
버드나무는 초기 그리스도교 순교자들의 나무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리스도교가 로마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자 당대의 로마 황
제들이 그리스도 교인들을 잡아들여 처형을 한다. 황제들은 그리스도를 빋는 이들을 잡아 죽이면 그 수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
을 했다.그러나 순교는 그리스도교의 씨앗이 되어 뿌리만 내리면 어떤 상황에서도 살아남는 버드나무 처럼 계속 되었고, 순교자
드로 그리스도교 신앙은 더욱 튼튼해졌다.
한편 양근이라는 말에서 양제근기(楊提根基)라는 말이 파생된다. 이 말은 튼튼한 근원,기초란 의미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양근이라는 지명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한국 천주교 역사 안에서 양근성지의 의미와 일맥상통하다.
현재 양평이란 지명은 1908년 지평군이 양근군과 협쳐지면서 양근의 '양'과 지평의 '평'이 합쳐서 된 지명이다.
양근성지는 신유박해 이전 천주교 도입기에 천진암 주어사 강학을 주도한 녹암 권철신과 한국 천주교 창립 주역의 하나로 일컬
어지는 권일신이 태어난 곳이다. 권철신과 권일신의 생가 터는 한때 강상면 대석리라고 하는 설이 있었으나 후손들과 교회학자
들의 연구를 통하여 현재 양평읍사무소 자리로 추정되고 있다.
이승훈 베드로는 1784년 붕경에서 그랑통 신부님에게 베드로라는 세례명으로 영세를 받은 한국 전주교회 최초의 신자이다,
그는 고국에 돌아와 서울 수표교 근처의 이벽의 집에서 찬국 전주교 창립의 선조들인 이벽과 권일신에게 세례를 베푼다.
그런 후 이승훈은 양근으로 내려와 권철신과 훗날 충청도와 전라도의 사도가 될 이존창(루도비꼬)과 유항검(아우구스티노)
에게 세례를 베푼다. 이승훈 베드로로부터 세례를 받은 이들은 몸소 조과(아침기도),만과(저녁기도),성로신공(십자가의 길)
등을 바치며 천주교 신앙생활을 실천한다.당시 천주교의 교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던 천주교 창립의 주역들이 신부의
역할을 하며 미사와 성사를 2년간 집전한다.
이처럼 양근성지는 최초의 신앙공동체가 형성된 곳이고, 가성직 제도가 시행된 곳이다. 그리고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은
충청도의 이존창과 전라도의 유항검을 통해 천주교 신앙이 양근에서 전라도와 충청도로 전파된다. 이런 의미에서 양근성지는
한국교회의 요람지이다.
조숙 베드로,권천례 데레사 동정부부가 태어나고 신앙을 증거한 곳이다.
조숙은 훗날 성직자 영입운동을 벌인 정하상 바오로 성인을 가르친 조동섭 유스티노의 증손자
이고, 권데레사는 권일신의 따님이다. 조숙 베드로와 권 데레사 동정부부는 한국 교회의 성직
자 영입운동에 적극 참여 하다가 잡혀서 순교한 분들이다.
이들은 결혼생활 15년 동안 오누이처럼 지내면서 동정을 지켰고 마침내 동정순교 부부의 자리
를 차지하게 된다.
1837년 샤스탕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여 1월15일 서울에 도착하자 모방 신부는 곧 양근으로 가서 머물며 4주일 동안 조선말을 공
부한 다음 그 읍내 신자들을 보살핀다. 그리고 모방신부는 샤스탕 신부를 양근으로 불러 그곳에서 함께 부활축일을 보낸다.
양근성지는 주문모 신부님을 모셔오기 위해 두번이나 북경에 밀사로 다녀온 윤유일 바오로의 동생윤유오 야고보, 4촌 여동생 윤
점혜 아가다, 권상문 세바스티아노(참수형)으로 순교한 곳이다.
현재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 특별 위원회는 하느님의 종 윤비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중 양근성지와 관련이
있는 순교자 조용삼 베드로(1801년 3월 27일 순교,독신), 홍익만 안토니오(1802년 1월 29일 순교, 평신도 지도자), 권상분 세바스
티아노(1802년 1월 30일 순교,평신도 지도자), 조숙 베드로,권 데데사(1819년 8월 10일 순교,동정부부)에 대한 시복 시성 작업을
하고있다.
양근성지의 중요성을 몇마디로 요약하자면 첫째로 최초의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고 전국으로 천주교 신앙이 퍼져나간 모태이다. 둘째로 조숙 베드로와 권 데레사 동정부부가 태어난 곳이다. 셋째로 많은 분들이 하느님을 믿는다는 이유로 양근천이 한강과 만
나는 오밋다리 부근 백사장에서 그들의 목이 잘리고 시신이 내버려진 곳이다.
양근성지와 가까운 곳에있는 용문사는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1785년 봄 명례방(명동) 김범우의 집에서 집회를 하다가
형조 관리에게 발각되는 즉, 을사추조적발사건 이후 양근사람 조동설 유스티노와 함께 8일간 침묵피정을 한 곳이다.
연휴에는 움직이지 말자던 다짐이 무너지던 날 많은 시간을 길에서 허비하고 다녀온 값진(?) 곳이다.
현충일인 6월6일이 금요일이고 바로 이어지는 토,일요일의 황금 연휴를 즐기기 위해 밖으로 향하는 차량 행렬은 가히 상상을 초
월한다. 우리도 그 속의 일원이 되어 한없이 이어지는 꼬리중 한 부분을 차지하고..
오래 걸려서 도착한 그곳에는 염천속에 장애아들의 성지순례 준비가 한창이다. 그들의 순례가 값진 양식이 되길 빌어본다.
'가톨릭 성지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의 중심에 들어선 남양성지(140630) (0) | 2014.07.01 |
---|---|
인천교구 50주년 기념 영성센터와 갑곶성지 (0) | 2014.06.16 |
괴산 연풍성지(20140509) (0) | 2014.05.23 |
절두산 성지(2014.1.26) (0) | 2014.01.26 |
겨울이 든 공세리성지 (0) | 2013.12.24 |